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A
- 미라클 모닝
- 독서
- 코딩
- 기사스크랩
- 감사인사
- 구글애널리틱스
- 코오롱베네트
- Google Analytics
- 벚꽃
- 데이터 분석
- 구글애널리틱스4
- 채용공고
- GA4
- 티스토리
- 프로그래머스
- 데이터문해력
- 니다
- 벚꽃개화시기
- 알파줄거리
- 영화 올드 줄거리
- 수명예측 인공지능
- Python
- 얼음여왕
- 6시 기상
- 명상
- ㅂㅂ
- Today
- Total
목록2023/05 (58)
Data Analyst KIM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를 읽고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입출력 예'를 참고하였다. code라는 변수에 문자열이 저장되어 있고 그 문자열을 mode가 0,1에 따라서 ret에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생각하면 된다. 시작할 때 mode는 0 이고 만약 return하려는 ret의 문자열이 비어 있다면 'EMPTY'를 반환하면 된다. 1. "ret"이라는 변수와 mode = 0 이라는 변수를 생성했다. => mode =0 인 인유는 처음 mode는 0이라고 했기 때문에 2. 조건문을 활용하여 code의 길이만큼 code의 인덱스를 ..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a,b의 문자열을 리스트로 바꿔서 문자열의 인덱스가 리스트에서 각각의 인덱스가 되도록 만들어준다. a,b를 정렬을 해서 조건문을 이용해서 같다면 1을 출력하도록 접근을 했다. def solution(before, after): answer = 0 a = list(after) a = sorted(a) b = list(before) b = sorted(b) if b == a : answer+=1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def solution(numbers, direction): answer = 0 if direction == "right" : answer = [numbers[-1]] + numbers[:len(numbers)-1] else : answer = numbers[1:] + [numbers[0]] return answer
3. 빅데이터 지식(2) - "3. 시각화, 4. 소프트웨어, 5. 웹크롤링, 6. 프로그래밍, 7. 수학 및 통계학) 3. 시각화 꺾은선그래프, 히스토그램, 막대그래프, 히트맵(상관관계파악), 지도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시각화를 한다. 시각화 도구로는 파이썬의 경우 'Matplotlib' , 'Seaborn' 등을 많이 사용한다. 만약 고정된 시각화가 아닌 사용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는 반응형 시각화는 'plotly'패키지를, 지도 위에 시각화하고 싶다면 'folium'패키지를 사용하면 된다. 시각화는R, python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Tableau' , 'Spotfire' , 'Qlikview' , 'Power BI'를 사용하여 코딩 없이 시각화가 가..
산불과 요일에 연관성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각화를 하게되었다. Q1. 어떤 년도에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했을까? 2013~2022년도까지 2022년도의 피해면적이 전체 면적의 약 70%로 가장 크다. Q2. 어떤 월에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했을까? 월별로 봤을때 2,3,4,5월에 주로 발생을 하고 대부분은 3,4,월에 가장 피해가 크다. Q3. 어떤 시도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을까? 그리고 적게 발생한곳은 어디일까? 경상북도와 강원도에서 약 88%정도 발생을 했다.(경상남도를 포함하면 약 93%정도) 서울,세종,광주,제주에서는 산불이 거의 발생 하지않았다. 비교적 경상도와 강원도는 산이 많고 서울과 광주에는 비교적 산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Q4. 요일과 산불피해의 관계가 ..

[모닝스쿨] 10일차(2023.5.11) - "나다움이란" 오늘은 명상대신 옆에 앉은 사람과 가볍게 산책을 하며 이야기를 하고 오는 시간을 가졌다. 나는 건축공학과 친구와 이야기를 했고 좋은 영향을 받았다. 짧은 시간이였지만 서로에 대한 칭찬을 주고 받았는데 아침에 칭찬으로 시작을 하니 하루시작이 상쾌했다. 오늘의 감사인사 1. 오늘 새로운 친구가 생긴 것에 감사합니다. 2. 매일 아침 전화를 해서 '화이팅'을 외쳐주는 여자친구에게 감사합니다. 3. 여유롭게 아침 공기를 마실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마음여행키트 오늘은 마음여행키트를 통해서 '나다움'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었다. '나'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생각을 해볼 수 있었다.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을 해봤을 때 1. 나에 대한..